본문 바로가기
poe 꿀팁

PoE 팁 정규표현식 생성 사이트 Path of Exile Regex

by zkalf 2023. 5. 17.

안녕하세요 zkalf 입니다.

 

지난번에 정규표현식에 대한 원리에 대해 알아봤다면

 

이번에는 정규표현식을 쉽게 생성할수 있는 사이트인 'Path of Exile Regex' 에 대해 소개하려고 합니다.

 

정규표현식이 뭔지 잘 모르시는 분은 제가 지난번에 올린 포스팅

 

https://zkalf.tistory.com/entry/POE-%ED%8C%81-%EC%A0%95%EA%B7%9C-%ED%91%9C%ED%98%84%EC%8B%9D%EC%9C%BC%EB%A1%9C-%EB%B3%B4%EA%B4%80%ED%95%A8-%EA%B2%80%EC%83%89%ED%95%98%EA%B8%B0

 

[POE 팁] 정규 표현식과 보관함 검색

안녕하세요 zkalf 입니다. 이번에는 정규표현식으로 보관함에서 아이템을 검색하는 법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프로그래밍 용어라서 낯설거나 거부감이 드실 수 있지만 최대한 쉽게 여러가지 예

zkalf.tistory.com

 

을 참고하세요.

 


 

 

목차

 

1. Path of Exile Regex 소개

 

2. 액트 밀때 유용한 벤더 레시피

   2.1. 홈 색깔과 링크

   2.2. 무기 레시피와 이동속도 장화

 

3. 원하는 수량과 무리규모 찾기

 

4. 강탈 계약 찾기 (기만 계약)

 

5. 그 밖에

 


 

1. Path of Exile Regex 소개

 

 

https://poe.re/

 

Path of Exile Regex

 

poe.re

 

위 주소에 들어가면 정규 표현식을 쉽게 생성할 수 있는 사이트가 나옵니다.

 

 

좌상단에는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리그 초 액트를 밀때 유용한 벤더 레시피부터

 

맵작업, 탐험의 그위넨 필터, 강탈 도면과 계약 등등 항목을 선택할 수 있고

 

오른쪽에서 원하는 옵션에 체크한뒤 우상단의 copy를 눌러 복사하면 됩니다.

 

물론 영어 기반 사이트라서 한글 클라이언트를 쓰시는분들은 몇가지가 적용이 안되나

 

그럴땐 몇 글자만 바꿔주면 됩니다. 이부분도 소개하겠습니다.

 


 

2. 액트 밀때 유용한 벤더 레시피

 

2.1. 홈 색깔과 링크

 

 

링크는 2링크와 3링크중 필요한것을 고르면 되고

 

원하는 홈 색에 맞춰 선택하세요.

 

하얀색홈은 어떤색이든 상관이 없다는 뜻입니다.

 


 

2.2. 무기 레시피와 이동속도 장화

 

액트의 상인들은 '젬 레벨 +1' 이 달린 무기나 '이동속도' 옵션이 붙은 장화를 판매하기도 합니다.

 

중요한건 이 아이템들을 '마법' 등급으로 판매한다는 건데요.

 

poe의 마법 아이템 이름은

 

'접두어 옵션명' '아이템 베이스' - '접미어 옵션명'

 

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런 아이템을 'alt' 를 눌러 자세히 보면

 

접두어 옵션명은 '해로운' 이며 접미어 옵션명은 '협상' 입니다.

 

그리고 아이템 베이스는 '명인 열쇠고리' 이기때문에

 

최종적으로 이 마법 아이템 이름은 '해로운 명인 열쇠고리 - 협상' 이 됩니다.

 

따라서 우리는 마법 아이템을 검색할 때 원하는 옵션의 이름을 알면 유용합니다. 

 

poe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아이템에 붙는 옵션과 이름은 아래의 poedb의 속성부여 탭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https://poedb.tw/kr/Modifiers

 

 

'Path of Exile Regex' 의 몇가지 기능은 이런 옵션 이름을 검색하도록 되어있는데 문제는 이게 영문명이라는거죠.

 

 

이동속도 10% 증가 옵션의 영문명은 Runner's 이고 15% 증가 옵션의 영문명은 Sprinter's 입니다.

 

db를 통해 한글명으로 검색하면 

 

 

이동속도 10%와 15% 모두 '주자' 라는 단어로 검색을 하면 되겠네요.

 

 

 

'젬 레벨 +1' 가 달린 마법봉도 마찬가지입니다.

 

'모든 주문 스킬 젬 레벨 +1' 옵션의 이름은 '달인의' 이며

 

'속성 주문 스킬 젬 레벨 +1' 옵션은 아래와 같습니다.

 

 

그 밖에 주문 플랫등 마법봉에서 여러가지 필요한 옵션은 아래에서 참고하세요.

 

https://poedb.tw/kr/Wands#ModifiersCalc

 

 


 

3. 원하는 수량과 무리 규모 찾기

 

 

맵을 찾을때는 좌상단에 'Map modifiers' 탭으로 들어가주세요.

 

왼쪽 칸이 최소 수량을 입력하는 곳이고 오른쪽은 무리규모 입니다.

 

그 아래 체크박스는 10 단위로 내림을 하는 기능이므로 (수량 135를 입력하면 130부터 찾아짐)

 

체크를 해제해 주세요.

 

 

아래의 빨간 네모 칸은 맵모드를 거르는 기능입니다. (재생불가, 반사 등등)

 

영문명으로 되어있으니 아래의 poedb 에서 한글명을 확인해서 따로 찾아야합니다.

 

https://poedb.tw/kr/Maps_top_tier

 

 

수량 135를 입력하면 맨 앞에 'm q'가 붙는데 영어 'item quantity' 에서 따온 것입니다.

 

따라서 붙여넣기 할때는 '수량' 으로 바꿔서 입력해주세요.

 

 

 

마찬가지로 무리 규모 32를 입력하면 맨 앞에 'iz' 가 붙는에 영어 'Pack size' 에서 따온 것입니다.

 

붙여넣기 할때 '규모' 로 바꿔서 입력해주세요.

 

 


 

 

4. 강탈 계약 찾기 (기만 계약)

 

 

좌상단의 'Heist' 탭을 클릭하면 원하는 타입의 계약을 찾을 수 있는데요.

 

맨위의 'Gianna' 버튼은 지아나 드러내기를 쌓을 수 있는 계약을 찾을 때 사용합니다.

 

 

그 아래는 '환산 불가능한 가치' 등 고가치 계약을 검색할 때 쓰며

 

 

마지막으로는 기만 1~5레벨 등 요구 종류에 따른 계약을 검색할 때 씁니다.

 

 

영문명을 한글명으로 바꿔준다면

 

'Deception' 은 '기만'

 

'Counter-Thaumaturgy' 은 '반-마석학'

 

'Perception' 은 '통찰력'

 

'Agility', 'Brute Force', 'Demolition', 'Engineering', 'Lockpicking', 'Trap Disarmament' 은 각각

 

'민첩합', '완력', '파괴공작', '공학', '자물쇠 따기', '덫 해제' 입니다.

 

 

 

이제 영어를 한글로 바꿔주면 되는데요.

 

예를 들어 지아나 드러내기를 쌓을 수 있는 계약을 검색할때 'dece' 는 '기만' 으로, 'ounte' 는 '반-마석' 으로

 

'erc' 는 '통찰' 로 바꿔주면 됩니다.

 

 

 

오른쪽 버튼은 지아나가 '강탈의 모든 작업 레벨 +1' 장비를 가지고 있을때 검색하는 필터입니다.

 

위에 비해서 통찰력과 반 마석학의 요구레벨이 한단계 더 높아집니다.

 

 

 

아래에서 각각 요구레벨의 최대와 최소값을 입력해서 찾을 수도 있습니다.

 

 


 

5. 그 밖에

 

'플라스크'와 '야수' 항목은 마찬가지로 한글명을 찾아야합니다.

 

굳이 이 사이트를 이용할 필요 없이 poedb에서 찾아서 검색하면 됩니다.

댓글